지그문트 그로븐 하모니카 콘서트

sigmund_poster

예술의 전당 IBK 챔버홀에서 하는 지그문트 그로븐( Sigmund Groven) 하모니카 콘서트에 다녀왔다.

나는 하모니카 연주가 낯설다.
어렸을 적 외갓집에서 하모니카를 발견하고 외삼촌들에게 몇 번 불어달라고 졸라서 짧은 몇 마디의 음을 들어봤던 게 전부다. 나도 하모니카를 조심스럽게 몇 차례 입에 대보기는 했지만 그 뿐이었다. 그 하모니카는 그다지 위생적으로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내 머리속의 하모니카는 ‘삑삑-‘터져나오던 외마디 기억이 전부이다. 그런데 하모니카로 콘서트를 한다니… 포스터 속 할아버지1는 얼마나 대단한 연주를 하기에 저런 미소를 지을 수 있는지 궁금했다.

결과적으로 썩 좋았다.
사실 1부는 좀 무료하게 흘러갔다. 교양머리가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처음 잠시 동안은 노르웨이 할아버지가 옥수수를 힘차게 입에 물고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했다.
아무래도 이 새로운 악기에게 머리 속 공간을 내어 줄 시간이 좀 필요했던 것 같다.
스스로에게 “악기란?”이라는 질문을 던지면 난 크게 아래와 같은 추상적인 이미지가 떠오른다.
피아노(건반악기). 물방울 위를 통통 뛰며 걸어가는 애들.
바이올린(현악기). 구슬프게 우는 애들.
드럼(타악기). 심장 소리처럼 뛰는 애들.

그런데 그 동안 내게는 관악기에 대한 이미지가 없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하모니카 연주를 들으며 ‘이 음색은 무엇과 닮아있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우선 하모니카도 처연하게 울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하모니카는 소년과 목동들의 발랄한 도구라는 내 머리 속 벽이 조금씩 허물어졌다.
그리고 때로는 청명하게. 하모니카는 새들의 지저귐과 닮았다고 생각했다.

1부 말미에 아리랑을 들으면서부터는 그저 음악 그 자체만을 온전히 들을 수 있었다. 국악 소녀 송소희를 옆에 데려다놓으면 정말 멋질 것 같았다.

2부는 아코디언 연주와 함께 시작되었는데, 멋진 신사2가 갑옷처럼 아코디언을 두르고서는 등장했다. 오른손으로는 건반을 현란하게 두드리고 왼손의 베이스로는 웅장한 숨을 토해냈다.
쫙 빼입은 검은 양복만큼이나 기럭지도 쫙 빠져서 양손으로 아코디언을 연주하는 모습이 마치 좌청룡 우백호를 채찍처럼 휘두르는 전사같아 그저 숨죽여 지켜보았다.
게다가 터키 행진곡3이라니! 운동할 때 듣는 리스트 중 하나라 매일 듣는 곡인데 여기서 만나다니 반가움과 감동이 밀려들었다.

다른 하모니카 연주곡 중에 가장 기억에 남는 곡은 노르웨이의 민요인 Varsog였다. 이 곡은 우리에게 익숙한 곡이기도 한데, Henning Sommero를 시작으로 Multicyde – A Better Day. 그리고 한국에서는 JTL – A Better Day로 이어지는 곡이다. 어려서부터 이 곡의 전주가 너무 좋아서 원곡까지 찾아 듣고는 했었는데 여기에서 만나게 될 줄은 몰랐다. 어느 힘든 날 고개를 들어보니 너무도 아름다운 석양을 하늘에 걸려있는 걸 보았을 때 느낀 그런 비슷한 감정을 느꼈다. 참고로 나는 세 곡 중에 Multicyde의 곡을 제일 좋아한다.

그렇게 멋진 공연을 마치고 두 차례나 더 앵콜 무대를 보여준 하모니카 할아버지께 경의를 표한다.

연주를 듣고 나오는 길의 음악 분수에서는 ‘당신은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 나오고 있었다.


  1. 지그문트 그로븐은 노르웨이에서 1946년에 태어났다. 한국 나이로 이미 70대이다. 
  2. 마티나스 레비츠키(Martynas Levickis) 
  3. Mozart Piano Sonata NO. 11, 터키풍으로 혹은 터키행진곡으로 불린다. 

사진없는 2016 서울드럼페스티벌 감상기

어제 저녁(2016.05.28) 서울 시청광장으로 드럼 페스티벌을 보러 다녀왔다.

지난번 서울 시청을 들렸을 때 “문화예술프로그램” 팜플렛을 보고 캘린더에 저장해놓고 이 날을 손 꼽아 기다리고 있었다.
(나도 이번에 알았는데 서울문화포털을 방문하면 월별문화행사 pdf파일을 받을 수 있다.)

사실 난 드러머들에 대해서 잘 모른다. 드럼도 배워보려는 계획도 맘이 꿈틀거리려던 찰나에 어깨를 다쳤기 때문에  무산되었다. 그래서 드럼도 잘 몰라.
아무튼 드럼 페스티벌은 어떨까 싶어서 계속 기대하고 있었다. 2016 서울 드럼 페스티벌은 금/토일 저녁(05.27~28) 양일간 진행되었는데, 맘 같아서는 이틀 내내 돗자리를 펴고 한량처럼 즐겨볼까 싶었지만 역시나 여러가지 일이 생겨서 어제 저녁에나 시간을 내어 볼 수 있었다.

나는 밤 8시부터 감상했기 때문에 이스턴모스트, Deantoni Parks, Alexis Von Kraven, Aric Improta, JOJO Mayer & Nerve, DJ 콘스탄틴 n Tweed의 연주를 볼 수 있었다.

한 줄 한 줄 감상을 남겨보자면 다음과 같다.

이스턴모스트는 오케스트라 느낌의 공연팀인데 동양적인 보컬(?) 스타일이 의외로 구성지고 중독성있었다. 내가 좋아하는 현악기들의 울음소리도 참 멋드러졌다.
Deantoni Parks는 표정도 그렇고, 음악도 마찬가지로 자기만의 개성과 세계가 명확한 것 같았다. 박자가 오묘하다는 느낌.
Alexis Von Kraven은 해골 마스크를 쓰고 온 근육질의 드러머였는데, 마스크 때문인지 친구 녀석 중 하나가 입이 마르게 추천해 온 애니메이션 디트로이트 메탈 시티가 연상되었다.
Aric Improta는 좋았다. 정말 좋았다. 이런 정숙한 단어로는 감정을 충실히 표현하지 못하는 느낌이다. ‘존나’ 좋았다. 빠르고, 신난다. 게다가 덤블링도 취미로 즐기는 열혈 드러머 같았다. 드럼외에는 신경쓰기 싫다는 듯 두른 머리띠나 런닝 한 장의 패션조차도 맘에 든다.
JOJO Mayer는 내가 원래부터 이름을 알고 있을 정도로 유명하신 분이다. 외모 역시 드럼 외길 인생을 달려오신 분 같은 아우라가 뿜어져 나왔다.
마지막 무대는 DJ 콘스탄틴 n Tweed의 무대였다. 이 팀은 DJ와 드러머 이렇게 두 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말 신이 났다. 특히 나는 전광판 바로 앞이라 DJ 단독 샷을 보고 있었는데 느낌이 충만하셨다. 미쳐 날뛰기에 충분한 음악을 선사해줬는데, 차마 그럴 수가 없어서 아쉬웠다. 공연이 열린 곳의 특성상 어르신들도 많으셨고, 다들 조심스럽게 즐기는터라 혼자 광란의 밤을 보내고 남의 휴대폰에 담겨 인터넷으로 올라온 나의 모습을 감상하고 싶지는 않았다.

확실히 음악은 라이브로 즐겨야 하는 것 같다. 특히 이번 공연은 음악이 내 몸을 때리는게 느껴질 정도의 위치에서 감상했는데, 드럼 소리가 심장에서 번져나오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켜 묘한 떨림과 흥분을 느낄 수 있어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