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들에게 사랑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고 한다.
“어. 맞아.”
관계에 오는 갈등은 통제하기 너무 복잡 미묘해서 내가 바뀌고자 노력하는 것이 한 명을 얻고 반대로 또 다시 한 명을 잃는 결과를 가져오는 ‘특성’에 불과하다면 관계에 대한 노력은 물거품 같은 것이다.
“아니. 완전히 그렇지는 않아.”
세상에는 동물과 다른 우리 인간의 기준이 있다. 그 중에는 선과 악이라는 개념도 있다. 옳은 것, 그른 것, 불분명한 것. 개 중에 불분명한 것들은 늘 우리 인간에게 심오한 질문을 던지지만, 옳은 것과 그른 것 역시 명백하게 존재한다. 여기에 대한 기준점이 없이 누군가는 늘 나를 미워하는 것이 관계에 대한 진실이라고 규명하고 그저 ‘이게 현실이니 포기하는게 편해’라는 것은 바보가 되어 행복을 누리려는 비겁한 자의 변명이 아닌가 생각된다. 바꿔 말해 우리는 선한 자가 좋아하고, 악한 자가 미워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물론 너와 나의 차이에 불과한 것들로 남들에게 미움을 살 수도 있다. 이런 문제는 현실적으로 인정 할 필요가 있다. 안타깝게도.
다음으로 중요한 질문은 관계에서 찾아오는 갈등 문제이다.
일단 누구와의 관계이던 갈등이 찾아오는 것은 필연적이라고 생각한다. 성격, 환경, 사건, 오해등 갈등이 일어날 요소는 차고 넘쳐 갈등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은 상상조차 되지 않는다. 갈등 없는 관계는 이미 끊어진 관계이거나, 무언가 덧칠해진 관계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중대한 갈등을 만났을 때 이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
해소하려고 노력할 것인가? 아니면 그저 갈등 속에 관계의 신선함이 헤졌음을 인정하고 체념하거나 새로운 관계를 찾아나설 것인가? 안타깝게도 중간은 없다. 사람이 동시에 품을 수 있는 인간관계는 시간만큼이나 한정적이기 때문이다.
답은 없다.
각 관계의 중요도와 성격에 따른 개인의 선택 문제이기 때문이다. 다만 위에서 말한대로 한 사람이 긴밀하게 맺을 수 있는 인간 관계는 한정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성품이 훌륭한 사람들을 가까이하고 갈등을 해소해나가는 방향으로 인간 관계를 꾸린다나는 것이 최선이 아닐까.
위의 영상은 박신양씨의 스타특상쇼 영상인데 행복에 대한 현실 인식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해서 덧붙여봤다. 힘든 시간 역시 소중한 내 인생이다.
이상주의자가 단단한 현실을 만나면 깊숙히 좌초되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고해서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하고 어둡게만 보는 것도 안될 일이다. 현실과 이상의 경계를 냉정하게 바라볼 수 있는 시야를 기르자. 냉소주의보다는 유머를 가까이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