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1009

민주주의와 AI는 상성이 좋지 않을까 생각을 했다.
최근에 한 생각들이 그 지점에서 만났다.

요즘 어느 나라를 봐도 우리가 믿던 민주주의의 수준을 내려 근시안적인 이익을 대변하는 정부가 선출되고있다.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큰 사건이 벌어질 타이밍이 이미 지나갔다는데 현재 시스템에 놓인 폭탄이 그때 그때 벌어지는 큰 사건들에 관심을 뺏긴 채 터지지 않고 겨우 이어지는 것 같다.

25년이 끝나감에도 AI는 멈추지않고 지수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인간의 의식이 특별하지 않다는 점에서 LLM은 인간이 상상하는 형태의 자의적인 의도를 갖지 않을 것 같다.
생명체와 같은 사고를 가지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감각. 그리고 정보의 개별적인 해석을 통한 성장등의 고립적인 특징에 더해 생존이라는 절대적인 목표를 가진 유전자적 의도가 필요한 것 같다. 그런 자의적인 개별 존재의 스토리텔링이 의지가 아닐까 싶다.
LLM은 그런 형태로 설계되지 않았기에 고도화된 지적 도구로 남을 가능성이 더 크지 않을까 한다. 그 편이 인간에게도 이롭다. 특이점은 당장에라도 우리가 상식적으로 상정할 수 있는 병목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점의 형태가 아닌 선이나 면처럼 바라볼 수 있는 형태로 과속방지턱을 넘어서며 올 것 같다. 하나의 원리나 지식이 기술 발전을 증폭시키는 연쇄작용처럼 말이다.

아무튼 현 시점에 이미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수적 감각으로는 상상하기 힘든 가속도가 붙고 있고 우리의 기존 시스템이 버텨준다면 생산력의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각 개인의 이기심을 대변하는 민주주의가 오히려 이 시점에서 상성이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지금도 지구안의 넘치는 생산성을 올바르게 재분배하고 있지 않지만 인간의 이기심을 제일 잘 대변하고 있는 민주주의만이 앞으로 그 재분배를 요구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AI가 플라톤이 말한 철인이 될거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는데, 나는 생명계가 그렇게 저열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한 명의 개개인은 별볼일 없지만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이기심, 질투, 이타심, 메타 인지와 같은 모든 본성들은 인간계를 지금까지 생존하게 만들어줬다.
재미있다고 생각한다. 사람의 모순된 본성은 평생동안 개인을 괴롭히는데 그것이 전체의 측면에서 바라보면 아주 훌륭한 전략일 수 있고, 또한 합리적으로 이해가 되니 말이다.

5년이나 10년뒤에 세상이 어떻게 변했을지 이 글을 다시 읽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