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황소개구리와 우리말 이라는 글을 쓴 최재천 교수의 책이다. 사실 과학자라는 직업을 가진 개인의 경험과 생각을 알고 싶어서 책을 골랐기 때문에 저자에 대해서 미리 알아보고 읽은 것은 아니다. 그래서 최재천 교수의 사진을 몇번이고 노려보고 나서야 “아..!” 하고 무릎을 치게 되었다. 이상할 정도로 황소개구리와 우리말이라는 글은 내 기억속에 또렷하게 남아있는데 아마 막 고등학생이 되어 몸에 잔뜩 힘이 들어간 와중에 배운 글이었기 때문인 것 같다. 교과서에 밑줄을 그어가며 읽던 나의 모습과 당시의 국어 선생님, 교실의 풍경에 이르기까지 추억들을 되살려준 최재천 교수에게 갑자기 고마운 마음이 들었다.
책은 최재천 교수의 성장스토리를 다룬다. 누구나 한번쯤은 겪었을 것 같은 방황과 고민이 담백하게 적혀있다. 개인적으로 위인전이나 자서전은 싫어하는데 이 책은 읽어가는 느낌이 참 좋았다. 문학에 소질이 있었던 그의 글 솜씨 때문인지 글을 읽는 것 보다는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었다. 또 작가의 경험에서 내 기억들도 하나씩 떠올려 공감을 할 수 있어 좋았다. 굴을 파고 놀던 그의 이야기를 읽고는 몰래 다락방에 기어올라가 꽁기꽁기 아늑함을 즐기던 내 어린 날이 떠올랐다.
그러나 그 무엇보다 이 책이 내 맘에 들었던 가장 큰 이유는 내게 읽고 싶은 책들을 더해 줬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이야기에서 중간 중간 멈춰서서 당시에 읽었던 책들에 대해 설명하고는 한다. 책에 대한 간략한 정보와 그때 그 책들이 최재천 교수의 삶에 어떤 의미로 다가갔는지 또 무엇을 알려줬는지 말해준다. 자신이 읽었던 책들에 대해서 얼마나 달콤하게 얘기 하는지 나는 껌뻑 속아넘어가 곧 그 책들을 읽게 될 것 같다. 특히나 우연과 필연, 사랑의 학교는 반드시 읽어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사실 과학자의 서재는 소소하게 느끼게 해주는 점이 더욱 많은 책이라 가벼운 마음으로 알콩달콩읽어 나간다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