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이상하다고 생각했다. 붙박이장 처럼 세월 속에 굳게 잠겨 변함없을 날들이, 생각하는 방향에 따라 기쁜 날이 되기도 하고 혹은 아주 괴로운 날이 되기도 한다는게. 그래서 종종 기쁨은 거짓으로 속여 만들어 낸 것 같은 기분이 들었고, 가끔은 대본을 읽는 것처럼 억지로 화를 내는 것 같은 때가 있었다.
물론 생각의 머리를 조금도 틀 수 없도록 압도되어 흘러간 시간도 많았다. 나이가 들수록 그런 나날이 아주 조금씩 줄어들어 한번은 내가 제 멋대로 모노드라마를 찍고 있다고 착각했다.
그리고 요 며칠은 최근의 10여년을 돌이켜 보았다. 많은 것들이 사그러들어 당시의 생생함을 잃었지만, 순간마다 기억의 생체기는 남았고 그 모든 것들이 현재의 나를 감싼 덩굴로 엮이었다. 피와 살로 이뤄진 우리 존재는 요즘 유행하는 여러 것들처럼 곧 바로 필요한 부분만 더하거나 잘라 덜어낼 수가 없는 것이다.
나는 그 동안 애송이였다가, 결연해졌다가, 물렀다가 다시 단단해졌다가. 가끔은 여유를 가졌다가, 하루는 세상에 둘도 없는 겁쟁이처럼 벌벌 떨었고 오래 전 살았던 고귀한 이처럼 현명한 순간도 있었다. 막을 수 없는 시간처럼 나는 어린 시절의 나를 온전히 지켜낼 수 없었다. 내가 얼만큼 어떻게 바뀌었는지는 장담할 수 없으나, 세상을 살고 느낀만큼 변했다.
스스로가 어디로 가고 있는지도 모르는 와중에도 ‘세상은 보는 방향을 따라 간다’는 생각은 더 살아갈 용기를 준다.
세상을 그저 아름답게만 보아 넘기자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온갖 종류의 도취 또는 마취와 다를 바가 없다.
우리는 변하지 않는 그 무언가를 마음에 담을 수 있다. 마음에 담은 그 무언가는 시간이나 타인이 빼앗아 갈 수 없음이다. 오직 스스로만 포기하거나 바꿀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우리는 번번히 잊어버린다. 그러니 삶에서 중요한 것들을 찾아내 그것들을 매일 소중히 품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어린 날에는 믿고 싶지 않았고, 지금은 아는 사실중 하나는 운칠기삼(運七技思)이다. 삶의 많은 부분이 개인의 노력보다는 운과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나라는 존재가 노력으로 세상에 일으키는 파문은 매우 미약하다. 10여년 전에 알았고 지금도 아는 사실 중 하나는 진인사대천명(盡人事待天命)이다. 사람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에 최선을 다 해야 한다. 앞으로도 평생을 마음에 새겨야 하는 것은 밝은 날이나 궂은 날이나 마음은 구겨지지 않고 늘 빛나는 무언가를 품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운이 따르기를 기대하고 쫓으며, 운이 따르지 않았을 때를 대비한다면 세속적인 어려움은 없지 않을까.
내용은 적당히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나는 해커. 매우 영리. 지난 여름 당신 사이트의 보안성 나의 성실한 벌레들로 대체되었다. 당신이 중국 Dust와 뜨거운 해를 즐기는 사이, 네 웹 페이지의 사용자들은 내 하드 디스크에 항상 존재하게 되었다. 당신 이에 대해 불만있습니까?
Don’t worry, 작은 에이시안.
우리는 최선을 다합니다. 당신에게 행운을 주기위해.
여기 Bitcoin 지갑이 있다. 이는 세계적이고 매우 Comfortable합니다. 당신이 나만큼 영리하지 못한다면 구글의 도움 받을 수 있다. 나를 부유하게 하기 위해.
항상 감사하십시오. and also 해킹 조아.”
내 개인 메일이라고 하면 별 느낌없이 스팸함에 넣었을 것 같은데, 사이트를 해킹했다니 그냥 무시하고 넘어가기에는 찝찝함이 남았다. 책임감이라는 것도 있고.
실제로 원문을 읽어보면 누구 하나 낚이라고 작정하고 적은 느낌이 든다. 불특정 다수의 약점을 노리는 교활한 문장들이 숨겨져 있다. 실제로 개인의 비밀스러운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이 메일을 보고 잠깐 심장이 철렁했을 것 같다.
다행히도 나는 전문 호스팅 업체를 이용하고 있기에 업체에 간단한 문의를 남겼다.
컴알못인 내가 직접 서버를 운영했더라면 웹 서버 보안에 문제가 없다는 사실을 밝혀내기 위해 며칠간 갖은 고생을 했겠지.
의심스러운 점은 해당 협박 메일의 발신 주소가 본인의 메일주소라는 점인데, 사실 발신 메일 주소를 바꿔서 보내기가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다.
그래서 메일의 정보를 객관적으로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을 찾아봤다. 각 메일에는 메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헤더가 있다고 한다. 헤더를 보는 방법은 메일 서비스마다 상이하니 생략하고, 헤더를 가지고 여기 구글의 메시지헤더 분석 페이지를 이용해보자.
나는 이를 통해서 이 망할 녀석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보다컴 메일 서버과 아웃룩 익스프레스 6.0을 이용했음을 알게되었다. 고야아안놈! 메일서버가 다른데 어떻게 내 계정에서 보낸 메일일 수가 있단 말인가?
일단은 노트 사용자가 필요한 것들을 구성지게 차려놓았다는 느낌이다.
최근에 에버노트에 템플릿 추가 기능이 들어간 것이 노션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 정도로 사용감이 좋다.
캘린더와 Trello에서 볼 수 있는 카드 형식을(Kanban) 구성해놓았다. 알람 시간의 세부 조정이 불가능하지만 리마인더도 가능. 반복 일정 불가능.
Workflowy에서 사용하는 계층 방식도 차용했다.
페이지 아래에 사이드 페이지를 만들면 부모 페이지에 자동으로 사이드 페이지가 들어간다. 그 상태로 마우스로 요리조리 수정하기도 편리. 에버노트에서 링크 주소를 복사해서 일일이 수작업하던 것보다 훨씬 편하다.
그 동안 이 앱들을 동시에 사용하면서 서로 상호 보완해가며 연동시키려고 얼마나 애를 썼던가….
일단은 맛깔나는 짬뽕앱이라는 느낌이다.
전체 검색에서 태그를 검색할 수 없다.
Export는 엑셀 형식으로 다운로드 가능.
최근 사용해 본 바로 계층 구조를 억지로 사용하려고 노력하지 않아도 쓸 수 있도록 만들어져있고, 태그(Property)도 마찬가지로 자연스럽게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있다.
★ 여러가지 노트 앱을 사용하면서 “1.태그 2.Index 페이지 3.트리구조”를 커스터마이징해서 사용하는게 꽤나 훌륭한 전략이라고 생각했는데 이것들이 아예 제품 자체에 녹아있는 편이다.
그리고 한 가지 자료 더미들을 캘린더, 테이블, 카드 형식으로 한번에 바꿔가면서 볼 수 있어 자료 재구성과 리뷰에 최적화되어있다. 현재의 노트앱 중에서 확실한 포인트가 있다.